참조: 2019년 1월 16일 추첨 점수표. 보통 년초에는 70점대 초반인것에 비해 85점을 유지한다는 의미는 이민자가 매우 많이 몰려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나는 지난 2018년 9월 24일 EE Federal Skilled Trade 카테고리만 284점으로 추첨했다.
보통 연방 이민국에서 작년기준 4월과 11월에 년2회만 뽑는데 올해는 어떠한 영문인지 약 한달가량 앞당겨진 9월말에 긴급적으로 뽑게되었다.
Bcpnp, Eebc, Ee 중에서 고민하던 나에게 행운과 같은 ee의 추첨 카테고리 안에 내 점수가 뽑힌 것이었다.
앞선 영주권을 받은 사람들의 통상적인 기간을 보면 pnp가 영주권을 받기까지 매우 시간이 오래 거리고, 그다음이 eebc, 가장 빠르게 취득하는것이 ee라고 한다.
1년 경력을 채우고난 이후
Pnp(2~5년) << Eebc(6개월~1년) << Ee(1개월~6개월) 순이라고 보통 말한다.
이주공사들에 따라 설명의 차이인데,
내가 처음 접했던 이주공사에서는 Pnp가 2년이라고 했었는데 서류 처리가 로또와 같은 진행이 이루어 지지 않는이상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운 기간이었던 것이다.
두번째 이주공사는 기간과 나의 점수(학력, 영어, 가족, 등등)만 된다면 가장 빠른 ee가 좋지만 사실 ee는 언제 뽑을지도 모르고 뽑아도 점수에 포함된다는 보장도 없고 그해 안뽑을지도 모르기 때문에 도박과 같은 기다림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맞는 말이다. 뽑힐지 말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단지 몇개월 빠르다고 ee만을 기다리느니, 차라리 보통 매주 추첨하는 eebc가 안정적으로 영주권을 빨리 받는 길이 될 수 도 있으니 당사자들은 잘 판단해야한다.
물론 필자는 정말 운좋게 영어점수가 나온 직후, 이틀뒤에 eebc와 ee에 동시에 뽑혀 ee로 접수 진행하게 된것이다.
빠르게 영주권(랜딩 패이퍼)를 받는 사람들 기준으로 2018년 크리스마스 선물로 영주권을 받는 기쁨을 상상하였지만..
그 기대는 2019년 현재 4개월차의 기다림으로 바뀌게 되었다.
한국에서 하던일을 여기서 한것이 아니라 생판 처음하는일.. 고되고 고된 일을 견딘 내자신이 자랑스럽다.
'Live in Canada_STORY > 캐나다 이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나다 영주권 신청 중인 사람이 코로나(covid-19) 바이러스에 걸리면 안되는 이유. (0) | 2020.03.27 |
---|---|
캐나다 영주권 취득 타임라인 (Permanet Resident CARD) (0) | 2020.03.27 |
캐나다에서 취업하기. (LMIA 고용비자) (0) | 2018.03.26 |
캐나다 이민 전 준비사항 1-2 (0) | 2018.03.17 |
캐나다 이민전 준비 사항. 1-1 (0) | 2018.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