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앞서 올린 글에서 한국을 떠나기전 준비방법 및 비용을 대강 살펴 봤다면 이번에는 이민을 준비하는 마음가짐(?) 태도에 대해서 써볼까 한다.

‘이민’이라는 단어는 꽉막힌 나라와 빡빡한 회사생활 또는 집안일을 벗어나 나를 무한한 자유와 평화를 줄것만 같은 상상유발 단어이다. 특히 외국생활을 단기간 또는 여행을 잠시 다녀와본 사람이라면 더욱더 그럴하리라 짐작된다.

게다가 이민병이 심해지면 내일 출근을 해야함에도 불구하고 어릴적 출근하신 아빠나 엄마가 내 선물 사온다는 말에 늦게오심에도 불구하고 쏟아지는 짐을 꾹꾹참으며 부모를 기다렸듯, 1. 이민관련까페를 검색하고, 2. 내가 해외나가서 또는 캐나다에가서 할 수 있는 일을 찾아보고, 3. 한국에서 취업해서 갈 수는 없는지도 알아보고, 4. 믿을 만한 이주공사나 유학원 예약 글도 남겨보고, 5. 이민가면 들어가는 비용이나 예산을 밤을 세워 짜본다.

내가 처음 한것은 까페에서 정보 수집이었다.
캐나다 관련 까페가 많은데 추구하는 스타일들이 다 다르기에 모두 가입해서 최대한 정보를 수집하는것이다.

캐나다에서 대중교통으로 이동하는것은 한계가 있다는 공통된 의견에 차구매를 중점으로 봤다.
그리고 한인모터스, 뉴컨셉모터스, 카매치 등에서 올라온 중고차를 한국에서 부터 유심히 봤다.

캐나다에 들어와서는 에어비엔비에 묵으면서 craigslist.ca(한국의 부동산124, 중구나라. 엥카 등을 합쳐놓은 커뮤니티)를 통해 집을 알아봤다.

캐나다에서 4년째 이민을 준비하는 누군가 말했다.
캐나다에 왔을 때 영어가 월등이 뛰어나지 않고 캐나다 회사에 바로 취업할 만한 능력이나 기술이 없다면 과거 한국에서 뭘했던간에 모두가 ‘좆밥’이라고..

다시말해 한국에서 연봉1억을 받는 그래픽 디자이너라도 IT회사 직원이라도, 삼성전자 직원이더라도..
영주권 획득, 이민을 위해 온사람은 모두 ‘좆밥’인거다.

일례로.. 유명 농구선수가 이민을 위해 이른 은퇴 후 캐나다에 와서는 스시집에서 시간당 11~13불을 받으며 롤을 말고 있다.

캐나다에는 맘 먹으면 나 하나 취업하는건 어렵지 않다. 게다가 영어를 하나도 못해도 취업이 가능하다.
영어를 못하면 내가 불편하고, 내가 힘들고, 나만 차별을 좀더 받을 뿐이다.

영어를 못해도 나를 받아주는 캐나다 지천에 깔린 한국주인인 스시집이 있으니깐..

그 한국주인 스시집은 모두 양아치라고..
노예중에 상노예 그런 노예가 없다더라..
4인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가장 혼자 스시집에서 일해서는 버틸 수가 없다.
맞벌이를 해도 자녀가 어리면 오히려 데이케어비용, 방과후 비용이네 뭐니 하며 지출이 더 크다.

방법은 솔로일때 이민을 오던지 아님 결혼을 했다면 애가 없을 때 빨리와서 영주권 받은 뒤에 애를 낳던지 하는거다.

외식비용이 비싸다보니 집에서 해먹는게 많은데 그래도 대한국인으로 태어나 입맛이 캐나다 입맛으로 하루아침에 바뀌질 않으니 식료품 비용이 반이상이다.

이민에는 이런말이 있다.
잘되면 이민이고 잘못되면 한국으로 돌아와 이혼한다고..

반응형

+ Recent posts